타이어 에너지소비 효율·등급 표시제
- 등록일2020/06/18
- 조회수173
정책대상
정책
목표
세부목표
정책수단 대분류
정책수단 세분류
관할부처
법제
시행여부
평가내용
기존통계
개발통계
비고
수송
정책
타이어 에너지소비 효율·등급 표시제
목표
에너지절약
세부목표
타이어 제작사가 경쟁적으로 고효율 타이어를 생산하고, 소비자는 에너지효율이 좋은
타이어를 쉽게 선택·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송부문 에너지절약 도모
정책수단 대분류
정보공개
정책수단 세분류
정보제공
관할부처
산업통상자원부
법제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15조 및 제16조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시행규칙 제7조~제10조의 2 자동차용 타이어의 에너지소비효율 측정 및 등급기준 표시 등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4-227호)
시행여부
시행중
평가내용
1. 지표명: 에너지절감량(TOE)
동일한 조건 하에서, 효율등급 1등급(회전저항계수 10%) 개선 당 1.5%의 연비가 향상
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절감량 산정
에너지절감량=Σ[당해년도 타이어 등급별 판매량 X (실적 연비 - 개선 연비)
X 연도별 연평균 주행거리]
1) 당해연도 타이어 등급별 판매량 = 등급제 대상 차량 총 판매량 X 타이어 등급별 판매비율
2) 실적 연비 = 당해연도 실적 연비 (연도별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분석집)
3) 개선 연비 = 당해연도 실적 연비 X (1+연비 개선율)
*. 연비 개선율 = [(1.5 X 회전저항 개선율)] ÷ 10 <효율등급 1등급 개선시 연비 1.5% 향상 가정>
*. 회전저항 개선율 = (5등급 회전저항 - 등급별 회전저항) ÷ 5등급 회전저항
4) 연평균 주행거리 = 당해연도 주행거리 (연도별 자동차 주행거리 실태분석)
2. 1) 타이어 양산품 사후관리 실시
2) 타이어 제작사 및 수입사가 판매하는 타이어의 효율과 공단에 신고한 효율과의 동일
여부를 측정·확인함으로써 제도의 신뢰성 확보
3)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제도 도입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유용한 구매 기준을
제공하고 수송부문 에너지절약에 기여
기존통계
타이어 시험 모델수, 부적합 모델수
개발통계
현재는 승용차용까지이므로, 이를 중대형 타이어까지 확대할 계획이므로
이를 위한 중대형 타이어의 에너지소비 효율, 등급 통계도 필요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