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기 에너지수요전망
연구·발간물
-
발간물에너지수요전망 (2017 가을호)
- 등록일2017/11/28
- 작성자 에너지수급연구실
에너지 소비 동향
2017년 상반기 총(일차)에너지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1.9% 증가한 149.4백만 toe를 기록
유가 상승, 기온 효과 등으로 수송 및 건물용 에너지 소비 증가세가 둔화했으나, 제조업 생산 활동이 기저효과 및 설비증설 효과 등으로 일부 회복하면서 산업용을 중심으로 총에너지 소비가 증가함. 전년 동기의 수출 급락(-10.2%) 및 생산활동 둔화에 따른 기저효과로 광공업생산지수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8%p 상승한 2.1%를 기록함
상반기 석유와 가스 소비는 증가세가 둔화, 석탄은 증가로 전환, 원자력은 급감세를 지속
석유(1.5% 증가) 석유화학의 설비 증설 효과로 납사 소비가 빠르게 증가했으나, 유가 상승에 따른 수송용의 증가세 둔화와 발전용 소비의 감소 전환으로 1%대 중반으로 증가세가 둔화됨
석탄(5.2% 증가) 발전용이 석탄 화력 최대 출력 하향 조정(2016.1) 효과 소멸과 신규 유연탄 발전 설비 진입 등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제철용도 국내외 철강 경기 부진 완화로 반등하며 5% 이상 증가함
원자력(9.7% 감소) 신고리3호기의 신규 진입(2016.12)에도 불구, 경주 지역 지진 발생 이후 안전 규제 강화 등으로 상당 수의 원전에서 예방정비 기간이 늘어나는 등의 영향으로 2016년 하반기 이후 급감세를 이어가며 10% 가까이 감소함
가스(3.5% 증가) 원자력 발전량의 감소분을 가스 발전이 일부 대체하면서 발전용을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대 중반 증가했으나, 2016년 하반기(11.7%) 대비로는 기저 발전인 석탄 발전량의 증가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됨
전력(1.2% 증가) 반도체 수출 증가 등으로 산업용이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 갔으나, 건물용이 전년 동기의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정체되며 1%대 초반 증가에 그침
2017년 상반기 최종에너지 소비는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한 116.3백만 toe를 기록
산업(4.2% 증가) 제철용 유연탄 소비 반등과 납사 및 LPG 소비 증가로 4% 이상 증가했으나 2016년 하반기 이후의 회복세를 유지함
수송(0.8% 증가)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2015년 이후의 급증세가 크게 둔화됨
건물(0.4% 증가) 열 및 전력 가격 하락, 서비스업 생산 증가(2.6%)에도 불구, 전년 동기의 빠른 증가 (4.3%)에 따른 기저효과, 유가 및 도시가스 요금 상승, 난방도일 감소(-1.7%) 등의 영향으로 보합함
에너지 수요 전망
2018년 총에너지 수요는 2.7% 증가한 310.6백만 toe, 최종에너지는 2.8% 증가한 240.1백만 toe 예상
총에너지 수요 증가세는 소폭 상승하는 반면 최종에너지의 증가세는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2018년 총에너지 수요는 전력 수요의 증가세 상승으로 발전 투입 에너지가 2017년 대비 빠르게 증가하며 증가세가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반면, 최종에너지 수요는 민간소비의 회복에도 불구 수출 증가세 둔화로 경제성장률이 소폭(0.1%p) 하락하고 석유화학의 설비증설 효과도 2017년대비 감소하며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보임
석유는 수요 증가세 확대, 석탄은 증가세 둔화, 원자력은 반등, 가스는 감소세 지속 전망
2018년 석유 수요는 유가 상승에도 불구, 수송 부문의 소비 증가에 힘입어 증가세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됨
석탄 수요는 신규 유연탄 발전소 진입 효과 소멸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될 전망임
원자력은 2017년에는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2018년에는 기저효과 및 신규 원전 진입 계획으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됨
가스 수요는 가격경쟁력 제고에 따른 도시가스의 증가세 유지에도 불구, 발전용의 감소로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보임
전력 수요는 2018년 산업용의 증가세가 소폭 둔화하겠으나, 건물용의 증가세가 확대되며 2%대 중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18년 산업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증가세가 둔화, 수송 및 건물 부문은 증가세 확대 전망
산업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수출 회복과 석유화학의 설비 증설 효과 등으로 2018년에도 전년 대비 3% 이상 증가하며 최종에너지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보이나, 원료용 수요의 둔화로 증가세는 전년 대비 둔화할 것으로 예상됨
수송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여행 및 화물 수요가 일부 회복하고 유가 상승세도 전년 대비 크게 둔화하며 증가세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됨
건물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2017년에는 기온효과에 따른 전년의 소비 급증 효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할 것으로 보이나, 2018년에는 에너지 가격 인하 효과 등으로 증가세를 일부 회복할 것으로 예상됨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7년 가스의 발전 투입량 전망은 원자력 발전량 회복 전망으로 2분기까지의 실적과는 크게 차이
2017년 상반기 원자력 발전량이 10% 가까이 급감하며 가스 발전 투입은 6% 가량 증가함
하지만, 2017년 연간으로는 원자력 발전량의 급감세가 4분기의 회복으로 완화됨에 따라 가스 발전 투입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2018년 총에너지 수요는 원자력과 석유를 중심으로, 최종에너지는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증가 전망
에너지원별로는 2017년에는 석탄이, 2018년에는 원자력과 석유가 총에너지 수요를 견인할 전망임
부문별로는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산업을 중심으로 최종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기여도 측면에서는 산업의 기여도가 전년 대비 하락하여 최종 에너지 소비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임
석유화학 설비 증설로 석유화학 산업의 에너지 소비는 2017년과 2018년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를 견인
파라자일렌(PX) 대중국 수출 증가, 유가 하락, 석유화학 제품 원료 다변화 등으로 2016~2017년 PX, NCC(Naphtha Cracking Center), 프로판탈수소화(PDH) 설비 등이 증설됨
2018년 석유화학 산업이 산업 부문 최종 에너지 수요 증가를 견인하겠지만, 기여도는 하락할 전망임
산업용 도시가스 수요는 2017~2018년 석유 대비 가격 경쟁력 개선으로 최근의 급감에서 지속 회복 전망
산업용 도시가스는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회수로 인한 추가적 가격 인상과 국제 유가 급락 등으로 석유 대비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며 2013~2016년 기간 연평균 8.9% 급감해 왔음
그러나, 2017년에 한국가스공사 미수금 회수가 완료되었고 11월부터 도시가스 요금이 서울 기준 평균 9.3% 하락함에 따라 2017년과 2018년 산업용 도시가스 수요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
보다 실효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시장기능을 통한 에너지(특히 전력) 수요관리 기반을 구축할 필요
2018년 전력 소비가 2.6% 증가하면서 전환부문에서 석탄과 원자력에 대한 수요도 견조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왜곡된 전력 가격은 전력 수요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고 비합리적 에너지 소비구조를 유인함
발전연료에 대한 세제 개편 및 전기요금체계 합리화를 조속히 추진하여 전기요금의 가격시그널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부록
주요 지표 및 에너지 전망 결과 (엑셀파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