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발간물

게시판 검색

전체 1 페이지 1/1
  • 발간물
    에너지수요전망 (2017 겨울호)
    • 등록일2018/02/23
    • 작성자 에너지수급연구실

    에너지 소비 동향

    2017년 3분기 총(일차)에너지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73.9백만 toe를 기록

    유가 상승 효과로 수송용 에너지 소비 증가세가 둔했으나, 제조업 생산 활동이 기저효과 및 설비증설 효과 등으로 일부 회복하면서 산업용을 중심으로 총에너지 소비가 증가함. 산업용 에너지 소비는 석유화학의 설비증설, 철강경기의 기저효과 등으로 원료용이 4% 이상 증가한 가운데, 수출 증가와 근무일수 증가(2.5일) 효과도 작용하며 에너지 소비가 증가함

    에너지원별로는 석유와 가스는 증가세가 둔화, 석탄은 증가로 전환, 원자력은 급감세를 지속

    석유(2.3% 증가) 석유화학의 설비 증설 효과로 납사 소비가 빠르게 증가했으나, 유가 상승에 따른 수송용의 증가세 둔화와 발전용 소비의 감소 전환으로 2%대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가 둔화됨

    석탄(11.0% 증가) 발전용이 대규모 신규 유연탄 발전 설비 진입 효과로 급증하고, 제철용도 전년 동기의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로 반등하며 전년 동기 대비 급증함

    원자력(10.8% 감소) 신고리3호기의 신규 진입(2016.12)에도 불구, 경주 지역 지진 발생 이후 안전 규제 강화 등으로 상당 수의 원전에서 예방정비 기간이 늘어나는 등의 영향으로 2016년 하반기 이후 급감세를 이어가며 10% 이상 감소함

    가스(1.0% 감소) 도시가스 제조용의 증가(5.3%)에도 불구, 석탄 발전량의 증가에 따른 발전용의 감소 (-4.3%)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전력(3.7% 증가) 산업용과 상업용 소비가 산업생산활동 증가 및 근무일수 증가 효과 등으로 빠르게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4% 가까이 증가함

    2017년 상반기 최종에너지 소비는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한 116.3백만 toe를 기록

    산업(2.1% 증가) 기저효과 등으로 제철용 유연탄 소비가 반등하고 납사 소비도 설비증설 효과 등으로 증가세를 유지하며 2%대 증가함

    수송(2.6% 증가) 전년 동기의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와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2015년 이후의 급증세가 크게 둔화됨

    건물(3.9% 증가) 유가, 도시가스, 열에너지 요금이 상승했으나, 주택용 전기 요금은 누진제 완화(2016.12) 효과 및 기온 효과 등의 영향으로 4% 가까이 빠르게 증가함

    에너지 수요 전망

    2018년 총에너지 수요는 2.3% 증가한 308.3백만 toe, 최종에너지는 2.4% 증가한 236.8백만 toe 예상

    경제가 2017년과 2018년 2년 연속 3%대의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2018년 총에너지와 최종에너지의 수요도 전년과 비슷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석탄을 제외한 대부분 에너지원의 수요 증가세가 2017년 대비 확대 예상

    2018년 석유 수요는 비에너지유의 증가세가 둔화하겠으나, 유가 상승에도 불구 수송 부문을 중심으로 에너지유 수요가 회복되며 증가세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됨

    석탄 수요는 신규 유연탄 발전소 진입 효과 소멸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될 전망임

    원자력은 2017년에는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2018년에는 기저효과 및 신규 원전 진입 계획으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됨

    가스 수요는 도시가스가 양호하게 증가하는 가운데 발전용이 반등하며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임

    전력 수요는 산업용과 건물용의 증가세가 모두 확대되며 2%대 중반 증가로 회복될 전망됨

    2018년산업과 수송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증가세를 유지, 건물 부문은 증가세가 소폭 하락 전망

    산업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원료용(납사 및 원료탄 등) 수요가 전년 대비 둔화할 것으로 보이나, 연료용 수요의 증가세는 확대되며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수송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유가 상승에도 불구, 여행 및 화물 수요의 증가세 회복으로 전년과 비슷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건물 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정책에 따른 민간 소비 확대, 에너지 가격 인하 효과 등으로 전년에 이어 2%대 증가하겠으나, 냉방도일 급감 및 난방도일의 보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로는 증가세가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임

    주요 특징 및 시사점

    에너지열량개정으로 2017년 총에너지 소비 실적이 하향 조정되었으나, 과거 대비 열량개정의 효과는 작음

    2017년부터 새로운 에너지열량기준이 적용되며 열량기준 에너지 소비량 실적이 변화됨

    과거 에너지열량개정이 이뤄진 해에는 총 및 최종에너지 모두 toe 기준 에너지 소비량이 큰 폭으로 변했으나, 이번 7차 개정의 경우 총에너지를 위주로 에너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소폭 감소함

    석탄 화력 발전량 비중은 정부의 탈석탄 정책 등으로 2017년을 피크로 하락할 전망

    총 발전량에서의 석탄 화력 발전량 비중은 2017년에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나, 2018년에는 정부의 석탄 발전 제한 정책, 원자력, 가스, 신재생 발전의 증가 등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발전투입 에너지의 증가세가 확대되며 2018년 총에너지와 최종에너지 증가율이 비슷해 질 것으로 전망

    총 발전투입 에너지는 전력 수요 증가세 상승에 따른 총 발전량 증가로 증가세가 확대될 전망인데, 2017년에는 석탄을 중심으로, 2018년에는 원자력과 가스를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총 발전투입 에너지의 증가세 확대로 발전 전환손실의 증가세도 2년 연속 증가하며 총에너지와 최종에너지의 증가율 격차가 좁혀질 것으로 보임

    2017년 말부터 시작된 한파 등의 영향으로 건물 부문 난방용 에너지 수요 전망의 불확실성이 증가

    건물 부문 에너지 수요는 2017년 말부터 지속된 이상 저온으로 2017년에이어 2018년에도 난방용 에너지를 중심으로 증가할 전망인데, 이상 한파 가능성은 전망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임

    부록

    주요 지표 및 에너지 전망 결과 (엑셀파일받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