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발간물

게시판 검색

전체 1 페이지 1/1
  • 발간물
    에너지수급동향 2019년 5월호
    • 등록일2019/05/31
    • 작성자 에너지수급연구팀

    1. 경제 및 산업

    2월 광공업생산지수는 반도체를 제외한 주요 업종의 부진이 지속되며 전년 동월 대비 3.4% 하락

    서비스업생산지수는 도·소매와 음식·숙박의 하락으로 전년 동월 대비 0.4% 하락

    2. 에너지 가격

    2019년 4월 국제 유가는 OPEC 감산과 미국의 베네수엘라 및 이란 제재 강화 등으로 전월 대비 7.4% 상승

    국제 석탄 가격은 전월 대비 6.8% 하락하며 4개월 연속 하락하고 천연가스 가격은 전월 수준 유지

    4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국제유가 상승폭이 확대되며 전월 대비 각각 4.0%, 3.7% 상승

    4월 프로판과 부탄 가격은 국제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월 수준 유지

    4월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해 7월 이후 4번째 요금 동결로 10개월간 같은 수준 유지

    열에너지 요금은 도시가스 요금이 동결됨에 따라 전월과 같은 수준 유지

    전력 요금[1]은 지난 3월 산업용과 일반용이 봄/가을철 요금으로 전환되며 하락한 후 동일 수준 유지

    3월 전력 판매 단가는 산업용, 주택용, 일반용이 전월 대비 각각 18.0%, 9.3%, 5.9% 하락

    3. 에너지 공급

    2월 에너지 수입량은 원유, 유연탄 등의 증가에도 불구 석유제품, LNG의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3.7% 감소

    4. 에너지 소비

    2월 총에너지 소비는 원자력이 증가했으나 석유, 석탄, 가스가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3.3% 감소

    최종에너지 소비는 수송 부문이 증가했지만 산업과 건물 부문이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2.8% 감소

    5. 석탄

    2월 석탄 소비는 산업 부문에서 증가하였으나 발전 부문에서 대폭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9.3% 감소

    6. 석유

    2월 석유 소비는 수송 부문의 증가에도 불구 산업과 건물 부문의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

    7. 가스

    2월 천연가스 소비는 발전용과 가스제조용이 모두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

    도시가스 소비는 산업 부문과 건물 부문에서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11.0% 감소

    8. 전력

    2월 전력 소비는 생산활동 둔화와 기저효과 등으로 산업용과 건물용이 모두 줄며 전년 동월 대비 5.1% 감소

    9. 원자력

    2월 원자력 발전량은 원자력 발전 설비 이용률이 상승하며 전년 동월 대비 25.5% 증가

    10. 열 및 신재생에너지

    2월 열에너지 소비는 따뜻한 겨울이 이어지면서 전년 동월 대비 14.7% 감소

    신재생·기타에너지는 IGCC의 가동 중지에도 불구 태양광·연료전지 발전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9.1% 증가

    11. 산업 부문

    2월 산업 부문 소비는 에너지다소비업종의 생산 활동 부진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0.6% 감소

    12. 수송 부문

    2월 수송 부문 소비는 다른 부문의 감소에도 불구 도로 부문의 빠른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2.7% 증가

    13. 건물 부문

    2월 건물 부문 소비는 온화한 겨울철 날씨 및 가격 효과로 전년 동월 대비 9.7% 감소

    14. 전환 부문

    2월 발전 투입 에너지는 원자력과 신재생을 제외한 에너지원에서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4.3% 감소

    부록: 에너지 수급 주요 지표 및 통계

    주요 경제 통계 및 지표

    업종별 생산 및 가동률지수

    국제 에너지 가격

    일차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에너지 설비 및 소비 관련 통계


    [1] 용도별 요금은 주택용([고압], 2구간의 전력량 요금), 일반용([갑], 저압), 산업용([을], 고압B 중간부하)을 사용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