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발간물

게시판 검색

전체 1 페이지 1/1
  • 발간물
    에너지수급동향 2020년 11월호
    • 등록일2020/12/04
    • 작성자 에너지수급연구팀

    1. 경제 및 산업

    8월 광공업 생산지수는 반도체의 상승에도 그 외 주요 업종의 하락 지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 하락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긴 장마와 코로나19에 따른 대면서비스 생산 악화로 전년 동월 대비 3.8% 하락

    2. 에너지 가격

    10월 국제 유가는 미국과 유럽의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월 대비 1.0% 하락, 전년 동월 대비 29.6% 하락

    10월 휘발유·경유 가격은 전월 대비 소폭 하락, 전년 동월 대비로는 10%대 하락세 지속

    10월 프로판·부탄 가격은 전월 수준 유지, 전년 동월 대비로는 각각 0.6%, 1.6% 하락

    10월 도시가스 요금은 상업용과 산업용이 전월 대비 각각 7.0%, 8.3% 하락하고 가정용은 전월 수준 유지

    10월 열에너지 요금은 7월의 요금 인하 후 4개월 연속 유지, 전년 동월 대비로는 2.8% 정도 하락

    10월 전력 요금[1]은 일반용, 산업용이 전월에 봄/가을철 요금으로 전환된 후 유지, 주택용도 전월 수준 유지

    9월 전력 판매단가는 일반용과 산업용은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주택용은 전력 소비량 증가로 상승

    3. 에너지 공급

    8월 에너지 수입량은 모든 에너지원의 수입이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21.7% 감소

    신재생·기타 에너지 생산량은 장마로 인한 수송 부문의 소비 감소와 발전 둔화로 전년 동월 대비 6.7% 감소

    4. 에너지 소비

    8월 총에너지 소비는 석탄, 가스, 석유 소비가 모두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7.1% 감소

    산업과 수송 부문에서 소비가 크게 감소하며 최종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8.7% 감소

    5. 석탄

    8월 석탄 소비는 주요 석탄 소비 업종의 생산 감소와 발전용 석탄 소비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10.7% 감소

    6. 석유

    8월 석유 소비는 산업과 수송을 포함한 모든 부문에서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11.9% 감소

    7. 가스

    8월 천연가스 소비는 하계 전력 소비 감소에도 불구, 발전용 소비가 급등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3.9% 증가

    최종 소비 부문 가스 소비는 건물 부문 소비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율이 -2.5%로 축소

    8. 전기

    8월 전기 소비는 산업 부문의 감소세 확대와 건물 부문의 감소 전환으로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

    9. 원자력

    8월 원자력 발전량은 설비 용량이 전년 동월과 동일한 가운데 이용률이 상승하여 전년 동월 대비 2.7% 증가

    10. 열 및 신재생에너지

    8월 열에너지 소비는 코로나19 재확산과 태풍으로 가정 부문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1% 증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폐기물의 신재생 분류 제외에도 수력 발전량 급증으로 전년 동월 대비 3.6% 증가

    11. 산업 부문

    8월은 조립금속업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로 돌아서며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

    12. 수송 부문

    8월 수송 부문 소비는 코로나19의 재확산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7% 감소

    13. 건물 부문

    8월 건물 소비는 코로나19 재확산과 태풍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 감소

    14. 전환 부문

    8월 발전 투입은 코로나19 및 태풍 등으로 인한 전기 소비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3.5% 감소

    부록: 에너지 수급 주요 지표 및 통계

    주요 경제 통계 및 지표

    업종별 생산 및 가동률지수

    국제 에너지 가격

    일차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에너지 설비 및 소비 관련 통계


    [1] 용도별 요금은 주택용([고압], 2구간의 전력량 요금), 일반용([갑], 저압), 산업용([을], 고압B 중간부하)을 사용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