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발간물

게시판 검색

전체 1 페이지 1/1
  • 발간물
    에너지수급동향 2020년 12월호
    • 등록일2021/01/05
    • 작성자 에너지수급연구팀

    1. 경제 및 산업

    3분기 국내총생산은 민간소비와 건설투자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

    9월 광공업 생산지수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의 상승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8.0% 상승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코로나19의 영향에도 불구 도·소매의 상승 전환으로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

    2. 에너지 가격

    11월 국제 유가는 백신 개발 소식 등으로 전월 대비 5.8%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29.2% 하락

    11월 휘발유·경유 가격은 전월 대비 소폭 하락, 전년 동월 대비로는 10%대 하락세 지속

    11월 프로판·부탄 가격은 전월 수준 유지, 전년 동월 대비로는 각각 3.0%, 4.9% 하락

    11월 도시가스 요금은 상업용과 산업용이 각각 0.5%, 0.7% 하락하고 가정용은 전월 수준 유지

    11월 열에너지 요금은 7월의 요금 인하 후 4개월 연속 유지, 전년 동월 대비로는 2.8% 정도 하락

    11월 전력 요금[1]은 일반용, 산업용이 겨울철 요금으로 전환되며 상승, 주택용은 전월 수준 유지

    10월 전력 판매단가는 모든 용도에서 전기 소비량 감소의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하락

    3. 에너지 공급

    9월 에너지 수입량은 LNG 수입 증가에도 석유제품 수입이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

    신재생·기타 에너지 생산량은 일사량 증가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5% 증가

    4. 에너지 소비

    9월 총에너지 소비는 가스와 신재생 소비 증가가 석탄 소비 감소를 상쇄 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0.3% 증가

    에너지의 최종 소비는 수송과 건물 부문 소비가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2.4% 증가

    5. 석탄

    9월 석탄 소비는 산업 부문에서 증가하였으나 건물과 발전 부문에서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7.7% 감소

    6. 석유

    9월 석유 소비는 수송과 건물 부문의 증가에도 산업 부문에서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1.3% 감소

    7. 가스

    9월 천연가스 소비는 발전용 소비의 급증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0% 증가

    최종 소비 부문 도시가스 소비는 산업 직도입 천연가스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8.0% 증가

    8. 전기

    9월 전기 소비는 산업 부문의 증가 전환과 가정 부문의 급증으로 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

    9. 원자력

    9월 원자력 발전량은 연이은 태풍 상륙으로 인한 발전 정지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10.0% 감소

    10. 열 및 신재생에너지

    9월 열에너지 소비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태풍으로 가정 부문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3% 증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2]은 태양광, 수력, 바이오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26.5% 증가

    11. 산업 부문

    9월 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는 조립금속의 소비 증가와 납사 소비 감소가 상쇄되며 전년 동월 수준 유지

    12. 수송 부문

    9월 수송 부문 소비는 작년 9월 유류세 인하 종료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

    13. 건물 부문

    9월 건물 소비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태풍 마이삭 및 하이선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4.9% 증가

    14. 전환 부문

    9월 총 발전량은 0.3% 증가한 반면, 발전 믹스 변화에 따른 발전 효율 상승으로 투입 에너지는 1.9% 감소

    부록: 에너지 수급 주요 지표 및 통계

    주요 경제 통계 및 지표

    업종별 산업생산지수 및 생산량

    국제 에너지 가격

    총에너지 소비

    일차에너지 원별 비중

    최종 소비

    최종 소비 비중

    에너지 설비 관련 통계

    에너지 소비 관련 통계


    [1] 용도별 요금은 주택용([고압], 2구간의 전력량 요금), 일반용([갑], 저압), 산업용([을], 고압B 중간부하)을 사용

    [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한전 전력통계속보 정보이며, 이는 에너지밸런스 내 신재생에너지 분류와 다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