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브리프
연구·발간물
-
발간물에너지브리프 2024년 9월호
- 등록일2024/09/13
- 작성자 에너지수급통계연구실
기록적인 여름 더위와 우리나라 중장기 기후 전망
기록적인 여름 더위를 경험하고 있다. 엘니뇨 등 다른 기상 조건으로 인해 발생한 예외적인 이상 기상 현상으로 볼 수도 있으나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의 평균 대기 기온이 상승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에너지 수급은 기상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중장기 기후 전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농도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IPCC 6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된 SSP 기후 시나리오와 이를 토대로 기상청이 작성한 남한과 서울의 기후 시나리오를 살펴본다. 모든 기후 시나리오는 지금부터 2040년까지 평균 기온이 과거 평년 기온 보다 약 1℃ 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 올해와 같은 폭염이 일상화될 수 있다는 의미로 에너지 수급 분석에서도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8월 국제 유가는 잇따른 주요 경제 지표 발표와 중동 정세 변동 등의 영향으로 등락 거듭 후 전월 대비 7.4% 하락
7월 원유와 석탄 수입 단가는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LNG와 LPG 수입 단가는 상승
국내 에너지 가격
8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국제 가격 상승에도 전월 유류세 인하폭 축소로 가격이 하락했던 기저효과로 하락
8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 일반용, 업무난방용, 산업용 모두 전월 대비 상승
8월 지역난방 열요금은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전월 수준 유지
8월 전기요금은 전력량요금, 기후환경요금, 연료비조정요금이 모두 동결되어 전월 수준 유지
8월 LNG 발전 연료비 단가는 상승한 반면, 유연탄과 유류 발전 연료비 단가는 하락
8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의 발전 연료비 단가 상승과 SMP 결정 비중 변화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10.1% 상승
8월 REC 현물 가격은 7.9만원/REC로 전월 대비 3.9%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도 4.6%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5월 총에너지 소비는 석탄을 제외한 모든 에너지원, 특히 신재생 소비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1.6% 증가
에너지 최종 소비는 산업 부문에서 증가했으나 수송과 건물 부문에서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0.1%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