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브리프
연구·발간물
-
에너지브리프 2023년 12월호
- 등록일2023/12/19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실
- 다운로드수 127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국내외 청정수소 시장 현황과 전망
수소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청정수소 시장 현황과 전망 자료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IEA의 'Global Hydrogen Review 2023'을 중심으로 해외 청정수소 시장 현황을 정리하였다. 특히 2030년 국가별 설정된 목표와 이를 사용하게 될 수요 부문의 차이가 아직은 큰 상황으로, 이 간극을 줄이기 위해 청정수소 생산-유통비용을 저감하는 정책에서 나아가 추가적인 수요를 창출하는 정책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는 수요 부문인 발전시장을 중심으로 청정수소 시장의 사용이 확대될 것이며, 이를 수송 부문과 산업 부문에 점차 확대시킬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외 청정수소 시장 확대를 위해 추진되는 다양한 정책 집합에 대해 살펴보았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11월 국제 유가는 주요국의 원유 생산 증가 소식과 중국의 원유 수요 둔화 우려 등으로 전월 대비 6.9% 하락
10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원유와 석탄은 상승한 반면, LNG와 LPG는 하락
국내 에너지 가격
11월 휘발유와 경유의 국내 가격은 국제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6월 이후 5개월 만에 하락 전환
11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과 일반용은 동결되었으나, 업무난방용과 산업용은 하락
11월 지역난방 요금은 7월에 2022년 연료비 정산에 따라 전월 대비 7.9% 인상된 후 4개월 연속 동결
11월 전기 요금은 주택용은 동결된 반면, 일반용과 산업용은 겨울철 요금 적용 등으로 큰 폭으로 상승
11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LNG와 유연탄은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유류는 소폭 상승
11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와 유연탄의 발전 연료비 단가 하락과 SMP 결정 비중 변동 등으로 하락
11월 REC 현물 가격은 7.9만원/REC로 전월 대비 1.9% 하락, 전년 동월 대비로는 23.7%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8월 총에너지 소비는 신재생과 가스가 증가했으나 석탄 및 석유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4.0%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건물 부문에서 증가했으나, 산업과 수송 부문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5.0%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11월호
- 등록일2023/11/13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실
- 다운로드수 137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한시적 유류세 인하 만 2년 이상 지속 기록
2021년 11월 12일 시작한 한시적 유류세 인하가 6 차례 연장을 거쳐 최장 기간인 만 2년을 넘기게 되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잦아들며 경기 회복으로 크게 상승한 국제 유가에 대응하기 위해 한시적 유류세를 도입하였는데 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 요인으로 국제 유가가 계속 상승하여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국제 유가의 변동 속에 유류세 인하라는 변수까지 더해지면서 국제와 국내 제품 가격의 차이는 큰 폭의 확대와 축소를 반복하였고 이는 곧 주유소와 대리점이 정유사에서 구매하는 소비량의 높은 변동성으로 나타났다. 수송용 석유제품 소비량의 변동성 확대로 인해 국내에서 공급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일시적이고 국지적인 해프닝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존한다. 유류세 인하와 같은 가격에 영향을 주는 정책을 시행할 때 월간 수급 변동성의 확대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10월 국제 유가는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 우려 등으로 하락하였으나, 중동 지역 긴장 고조 등이 하락폭을 제한
9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원유, LNG, LPG는 상승한 반면, 석탄은 하락
국내 에너지 가격
10월 휘발유와 경유의 주유소 판매 가격은 10월 국제 가격 하락에도 불구, 전월 대비 각각 0.4%, 1.4% 상승
10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은 동결되었으나, 일반용, 업무난방용, 산업용은 상승
10월 지역난방 요금은 7월에 2022년 연료비 정산에 따라 전월 대비 7.9% 인상된 후 동결
10월 전기 요금은 4분기 연료비 조정단가가 동결되며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모두 전월 수준 유지
10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LNG와 유류는 전월 대비 상승한 반면, 유연탄은 하락
10월 계통한계가격(SMP)은 kWh당 137.0원으로 전월 대비 3.0% 하락, 전년 동월 대비로도 45.6% 하락
10월 REC 현물 가격은 8.0만원/REC로 전월 대비 0.4% 하락, 전년 동월 대비로는 26.4%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7월 총에너지 소비는 신재생과 원자력을 제외한 모든 에너지원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3.9%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수송 부문에서 소폭 증가했으나, 산업과 건물 부문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2.9%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10월호
- 등록일2023/10/10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실
- 다운로드수 122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2023년 상반기 전력수급 동향
2023년 상반기 전력소비는 일반용과 교육용을 제외한 모든 용도에서 줄며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한 269.9 TWh를 기록하였다. 상반기 중 최대전력수요는 92,613 MW(1월 26일(목) 오전 10시)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으나, 공급예비율은 11.4%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총 발전량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286.5 TWh를 기록했으며, 발전원별로는 석탄과 가스는 감소, 원자력은 보합, 신재생 및 기타는 증가했다. 석탄 발전의 비중은 여전히 가장 높았으나 원자력과의 비중 격차는 1%p 미만으로 좁혀졌다. 한전의 전력 판매단가는 전기요금이 2022년 하반기 이후 4차례에 걸쳐 단계적으로 인상되며 전년 동기 대비 32.3% 상승한 146.0원/kWh을 기록했다. 전체 전력의 도매시장 정산단가는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2022년 하반기 대비로는 하락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6.4% 증가한 147.46원/kWh를 기록했다. 2020년까지 한전의 전력 판매단가는 정산단가 대비 크게 낮았으나, 2023년 상반기에는 판매단가가 정산단가보다 큰 폭으로 상승해 두 가격의 차이가 1.43원/kWh으로 좁혀졌다. 이에 따라 그동안 급속하게 악화되어왔던 전기요금 원가회수율의 악화 폭이 2023년 상반기에는 크게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9월 국제 유가는 사우디와 러시아의 자발적 공급 감축 연장과 미국 원유 재고 감소 등으로 전월 대비 7.9% 상승
8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원유, LNG, LPG는 상승한 반면, 석탄은 하락
국내 에너지 가격
9월 휘발유와 경유의 주유소 판매 가격은 국제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각각 3.1%, 5.9% 상승
9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과 일반용은 동결된 반면, 업무난방용과 산업용은 소폭 하락
9월 지역난방 열요금은 7월에 2022년 연료비 정산에 따라 모든 용도에서 전월 대비 7.9%씩 인상된 후 동결
9월 전기 요금은 주택용은 동결된 반면, 일반용과 산업용은 봄·가을철 요금 적용으로 전월 대비 급감
9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LNG, 유연탄은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유류는 소폭 상승
9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 발전 연료비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4.1% 하락
9월 REC 현물 가격은 8.1만원/REC로 전월 대비 7.2%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27.6%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6월 총에너지 소비는 신재생을 제외한 모든 에너지원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3.3%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수송 부문이 반등했으나, 경기 침체 등으로 산업 부문이 줄며 전년 동월 대비 1.4%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9월호
- 등록일2023/09/07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실
- 다운로드수 128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2023년 국내 석유화학산업 동향 및 전망
2023년 상반기까지 국산 석유화학제품 수출량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감소했고, 제품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수출액 또한 전년 대비 감소했다. 특히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않아 대중 수출비중이 처음으로 절반 이하로 낮아졌다. 2022년까지 국내 석유화학 생산시설 신증설의 영향으로 공급역량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주요 제품 마진이 손익분기점을 하회하며 생산시설 가동률이 하향 조정되어 2023년 상반기까지 생산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2023년 하반기 이후로 주요 석유화학제품 수요 증가에 대비해 공급 증가 폭이 더 커져 동아시아 시장 내 공급과잉 기조는 2024년 이후에나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글로벌 경기 변동과 동조성이 높은 석유화학제품 수요는 주요국들의 제한적 성장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 것이다. 당초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수요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최근 중국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불안정성이 확대되며 수요 증가 폭을 제한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년 하반기부터 국산 석유화학제품 수출량은 동아시아 시장 내 공급 과잉에도 불구하고, 국내 생산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다만, 동아시아 석유화학시장 내 공급 과잉이 해소되지 못한 상황에서 국산 제품의 수출량 증가는 주요 수출대상국으로부터 반덤핑 피소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단기적으로 국내 석유화학시황이 급속히 개선될 여지는 부족하기 때문에 석유화학사들은 석유화학 부문 이외에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전략을 추진할 전망이다. 그러나 화학산업 공급망은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 일괄적으로 구축된 특징이 있기 때문에 기존 석유화학사들이 업스트림 생산설비를 폐쇄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8월 국제 유가는 OPEC+ 주요국의 공급 감축 결정, 미국 원유 재고 감소 등으로 전월 대비 7.5% 상승
7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석탄, LNG, LPG는 하락한 반면, 원유는 소폭 상승
국내 에너지 가격
8월 휘발유와 경유의 주유소 판매 가격은 국제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각각 8.3%, 12.7% 상승
8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 일반용은 동결된 반면, 업무난방용, 산업용은 전월 대비 각각 5.0%, 5.7% 하락
8월 지역난방 열요금은 7월에 2022년 연료비 정산에 따라 모든 용도에서 전월 대비 7.9%씩 인상된 후 동결
8월 전기요금은 5월 16일 전력량요금 조정과 6월 여름철 요금 적용에 따른 인상 후 동결
8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LNG, 유연탄은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유류는 소폭 상승
8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 발전 연료비 단가 하락(-5.3%)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4.1% 하락
8월 REC 현물 가격은 7.5만원/REC로 전월 대비 2.8%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21.1%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5월 총에너지 소비는 모든 에너지원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경기 침체, 에너지 요금 상승 등으로 산업과 수송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6.1%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8월호
- 등록일2023/08/11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팀
- 다운로드수 137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OECD NEA 발간 SMR Dashboard report 요약 및 분석
2023년, OECD 산하 원자력국 (Nuclear Energy Agency)은 SMR 개발 및 보급 진행상황을 분석하는 도구인 Small Modular Reactor (SMR) Dashboard를 공개하고, 공개된 기준에 따라 전 세계에서 개발 중인 SMR 중 42개 노형의 진행정도를 평가하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2050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해 원자력의 역할이 필수불가결하다고 주장하면서, 필요한 원전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SMR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NEA는 SMR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SMR 개발 및 진행상황을 평가하기 위한 인허가, 부지, 자금조달, 공급망, 지역연계, 연료수급 등 6개 분야의 평가척도를 제시하고, 주요 SMR 별로 이를 평가하였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7월 국제 유가는 OPEC+ 주요국의 추가 감산 결정, 미 연준의 통화 긴축 완화 기대 등으로 전월 대비 7.3% 상승
6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원유, 석탄, LPG는 하락한 반면, LNG는 소폭 상승
국내 에너지 가격
7월 휘발유와 경유의 주유소 판매 가격은 각각의 국제 가격과 환율 등의 영향으로 전월 수준을 유지
7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 일반용은 동결된 반면, 업무난방용, 산업용은 전월 대비 각각 3.3%, 3.8% 상승
7월 지역난방 열요금은 2022년 연료비 정산에 따른 인상요인의 일부 반영으로 전월 대비 7.9% 인상
7월 전기요금은 5월 16일 전력량요금 조정과 6월 여름철 요금 적용에 따른 인상 후 동결
7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에너지 도입비용 하향 안정화 등의 영향으로 LNG, 유연탄, 유류가 모두 하락
7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 유연탄, 유류의 연료비 단가 하락에도 불구, SMP 결정 비중 변동으로 상승
7월 REC 현물 가격은 7.3만원/REC로 전월 대비 0.4%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31.7%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4월 총에너지 소비는 원자력을 제외한 주요 에너지원이 모두 줄며 전년 동월 대비 4.0%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경기 침체, 에너지 요금 상승 등으로 산업과 건물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5.5%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7월호
- 등록일2023/07/12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팀
- 다운로드수 94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2023년 에너지 수요 전망 및 주요 특징[1]
2023년 총에너지 수요는 전년 대비 0.7%, 최종소비는 0.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과 건물 부문이 에너지 소비 감소를 주도할 것으로 보이며, 수송 부문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소폭 증가하여 전체 에너지 소비 감소 폭을 다소 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 부문에서는 에너지 소비 비중이 높은 석유화학의 생산 감소와 이에 따른 원료용 석유제품 수요 감소가 주된 에너지 소비 감소 요인이며, 건물 부문에서는 연초의 난방비 대란으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과 기온효과가 에너지 소비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발전 부문에서는 총 발전량이 정체된 가운데, 원자력과 신재생 발전이 확대되고 석탄 발전은 축소, 가스 발전은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6월 국제 유가(브렌트, WTI)는 OPEC+의 원유 감산 연장에도 불구, 영국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소폭 하락
5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석탄, LNG, LPG는 하락한 반면, 원유는 소폭 상승
국내 에너지 가격
6월 휘발유와 경유의 주유소 판매가격은 국제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각각 3.0%, 5.3% 하락
6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이 동결된 반면, 일반용, 업무난방용, 산업용은 하락
6월 지역난방 열요금은 5월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의 영향으로 모든 용도에서 전월 대비 4.8%씩 인상
6월 주택용 전기요금은 동결된 반면, 일반용과 산업용 전기요금은 여름철(6~8월) 요금 적용으로 전월 대비 급등
6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국제 에너지 가격 약세로 무연탄, 유연탄, LNG, 유류가 모두 하락
6월 계통한계가격(SMP)은 모든 에너지원의 연료비 단가 하락에도 불구, 에너지원별 SMP 결정 비중 변동으로 상승
6월 REC 현물가격은 7.3만 원/REC로 전월 대비 1.1%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33.9%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3월 총에너지 소비는 석유와 원자력이 증가한 반면, 석탄과 가스가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1.5%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경기 침체, 기온효과, 에너지 요금 상승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6월호
- 등록일2023/06/16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팀
- 다운로드수 112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전기요금 결정구조와 요금 조정 추이
전기, 가스 등 공공요금의 결정구조는 총괄원가 보상원칙을 따른다. 추가로 전기요금은 2021년부터 도입된 원가연계형 전기요금체계에 따라 연료비 변동분을 매 분기 반영한다. 본고는 이러한 전기요금 결정구조 및 요금체계를 간략히 살펴보고 실제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최근 전기요금 조정 추이와 총괄원가 및 전력판매수입 현황을 확인하고, 연료비조정요금의 기능과 조정 내역을 검토한다. 전기요금은 2022년 4월부터 현재까지 총 4차례 조정되었으나, 그럼에도 전력구입비용과 판매단가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료비 변동분을 주기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료비조정요금은 요금 인상요인이 있음에도 정부의 정책적 판단에 따라 유보되는 경우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5월 국제 유가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와 공화당의 연방정부 부채한도 협상 난항 등으로 전월 대비 10.2% 하락
4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석탄, LNG, LPG는 하락한 반면, 원유는 소폭 상승
국내 에너지 가격
5월 휘발유와 경유의 주유소 판매가격은 국제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각각 0.7%, 4.2% 하락
5월 도시가스 요금은 주택용과 일반용은 전월 대비 상승한 반면, 업무난방용과 산업용은 하락
5월 지역난방 요금은 10월에 모든 용도에서 전월 대비 20.7%씩 상승한 후 7개월 연속 동결
5월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전기요금은 전력량요금이 인상되어 전월 대비 각각 4.4%, 8.2%, 6.6% 상승
5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유류는 전월 대비 상승한 반면, 유연탄과 LNG는 하락
5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 발전 연료비 단가 하락(-8.0%)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12.9% 하락
5월 REC 현물가격은 7.2만 원/REC로 전월 수준 유지, 전년 동월 대비로는 36.2%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2월 총에너지 소비는 경기 둔화 등으로 모든 에너지원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4.3%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경기 악화, 기온효과 등으로 모든 부문에서 소비가 줄며 전년 동월 대비 5.1%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5월호
- 등록일2023/05/10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팀
- 다운로드수 146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
정부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2021년 9월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 기본법’)을 제정하였고, 동년 10월에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국제사회의 요구와 주요국의 상향수준 및 국내 감축여건을 감안하여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이하 ‘NDC상향안’)을 발표하였다. 2023년 3월에는 탄소중립 기본법 제10조 에 의거하여 2050 탄소중립 이행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부문별·연도별 감축목표 및 중장기 정책방향을 포함하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안)」(이하 ‘기본계획(안)’)을 발표하였다. 기본계획(안)은 2023년 4월 10일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되어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이하 ‘탄소중립 기본계획’)으로 발표되었다. 탄소중립 기본계획에서는 2030년 배출량 목표를 436.6백만 톤(2018년 대비 40% 감축)으로 확정한 NDC 상향안의 감축목표를 준수하되 감축수단별 이행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일부 내용을 조정하였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4월 국제 유가는 OPEC+의 감산 발표와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중단 기대감으로 전월 대비 8.5% 상승
3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원유, LNG, 프로판은 하락, 석탄과 부탄은 상승
국내 에너지 가격
4월 국내 주유소 판매가격은 국제 가격 변동으로 인해 휘발유는 전월 대비 1.8% 상승한 반면, 경유는 0.6% 하락
4월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주택용은 동결, 일반용, 업무난방용, 산업용은 전월 대비 각각 1.3%, 19.5%, 23.3% 하락
4월 지역난방 요금은 10월에 모든 용도에서 전월 대비 20.7%씩 상승한 후 6개월 연속 동결
4월 전기요금은 3월에 봄·가을철 요금으로의 전환으로 일반용과 산업용에서 전월 대비 약 20%씩 하락한 후 유지
4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유연탄, LNG, 유류는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원자력은 전월 수준 유지
4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 발전 연료비 단가 하락(-21.6%)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23.6% 하락
4월 REC 현물가격은 7.2만 원/REC로 전월 대비 6.3%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36.5%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1월 총에너지 소비는 경기 악화 등으로 모든 에너지원에서 줄며 전년 동월 대비 6.9%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건물 부문은 정체하고 산업과 수송 부문은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7.2%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4월호
- 등록일2023/04/10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팀
- 다운로드수 158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2022년 국내 에너지 소비
2021년 반등했던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2022년에 다시 감소 전환했다. 국내외 경기 둔화가 에너지 소비 감소의 주 요인 중 하나였으며, 국제 에너지가격 급등으로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 대비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 부문별로는 산업 부문에서의 소비가 전년 대비 3.4% 감소하여 국가 전체의 에너지 소비 감소를 주도했으며, 에너지원별로는 원자력을 제외한 주요 에너지원이 모두 감소했다. 석탄, 석유, 가스 소비가 전년 대비 각각 5.0%, 2.4%,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전년 대비 두배 정도 상승한 것에 비해 가스 소비의 감소폭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는데 이는 석탄 발전량 감소, 석유화학 설비 증설, 3월까지의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동결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3월 국제 유가는 미 연준의 통화긴축 기조 지속 우려와 세계 금융 위기 우려 확산으로 전월 대비 4.4% 하락
2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원유, 석탄, LNG 모두 하락
국내 에너지 가격
3월 국내 주유소 판매가격은 국제 가격 변동으로 인해 휘발유는 전월 대비 상승한 반면, 경유는 하락
3월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주택용과 일반용은 동결, 업무난방용과 산업용은 전월 대비 각각 3.4%, 3.6% 하락
지역난방 열요금은 10월에 모든 용도에서 전월 대비 20.7%씩 상승한 후 5개월 연속 동결
3월 전기요금은 일반용과 산업용은 봄·가을철 요금으로 전환되어 하락하였고, 주택용은 전월 수준을 유지
3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전월 수입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LNG, 유연탄, 유류 모두 하락
3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 발전 연료비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14.9% 하락
3월 REC 현물가격은 6.8만 원/REC로 전월 대비 8.6%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42.8%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12월 총에너지 소비는 가스가 증가했으나 나머지 에너지원의 소비가 모두 줄며 전년 동월 대비 3.0%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건물 부문이 기온효과로 증가했으나 산업 부문이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
에너지브리프 2023년 3월호
- 등록일2023/03/10
- 작성자 에너지수급전망연구팀
- 다운로드수 151
-
다중 파일 다운로드 전체 파일 다운로드
2022년 전력수급 동향
2022년 전력소비는 547.9TWh로 전년대비 2.7% 증가하였다. 경기부진으로 산업용 전력소비 증가율이 둔화한 데 따른 결과다.[1] 용도별로는 코로나 조치가 완화되면서 대외활동의 증가로 주택용 소비 증가세가 크게 둔화한 반면, 일반용과 교육용은 각각 6.4%와 7.7%의 높은 증가율을 시현하였다. 최대전력수요는 94,509MW로 전년에 비하여 3.7% 증가하였다. 2021년까지 4년간은 최대전력수요가 여름에 발생하였지만 2022년에는 겨울(12월23일)에 발생하였다. 2022년 총 발전량은 2021년 대비 3.0% 증가한 594.4TWh를 기록하였다. 발전원별 발전량을 보면 원자력이 2021년보다 11.4% 증가한 반면, 석탄과 가스 발전량은 각각 2.4%와 2.9%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석탄의 비중은 32.5%까지 낮아진 반면, 원전의 비중은 29.6%로 높아졌다. 신재생 발전량은 전년보다 23.4% 증가하여 발전량 비중이 8.9%로 확대되었다. 에너지원별 거래단가를 보면 LNG복합이 239.90원/kWh으로 전년대비 96.0% 상승하였고 유연탄 거래단가도 55.3%나 증가하였다. 반면 원자력의 거래단가는 6.6% 하락하였다. 전체 전력의 도매시장 정산단가가 전년보다 59.8% 상승한 153.73원/kWh를 기록하였다. 한전의 전력 판매단가는 2021년 1.5% 하락하였으나 2022년은 세 차례 요금 인상의 결과로 전년보다 11.5% 상승한 120.51원/kWh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판매단가가 도매시장 구입단가의 78.4%에 그쳐 전기요금 원가회수율은 더욱 악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브리프 이슈 전문 보기
국제 에너지 가격
2월 국제 유가(두바이유)는 공급 차질 등으로 상승하였고, 국제 연료탄과 천연가스 가격은 기온효과 등으로 하락
1월 국내 에너지 수입 단가는 원유와 석탄은 전월 대비 하락한 반면, LNG는 상승
국내 에너지 가격
2월 국내 주유소 판매가격은 국제 가격 변동으로 인해 휘발유는 상승한 반면, 경유는 하락
2월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주택용과 일반용은 동결, 업무난방용과 산업용은 전월 대비 각각 1.3%, 1.4% 하락
2월 지역난방 열요금은 10월에 모든 용도에서 전월 대비 20.7%씩 상승한 후 4개월 연속 동결
2월 전기요금은 1월에 전력량요금과 기후환경요금의 인상으로 총 13.1원/kWh 인상된 수준을 유지
2월 발전 연료비 단가는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에 따라 LNG는 상승한 반면, 유연탄과 유류는 하락
2월 계통한계가격(SMP)은 LNG 발전 연료비 단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5.3% 상승
2월 REC 현물가격은 6.3만 원/REC로 전월 대비 2.3% 상승, 전년 동월 대비로는 11.6% 상승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소비
11월 총에너지 소비는 원자력을 제외한 모든 에너지원의 소비가 줄며 전년 동월 대비 6.0% 감소
에너지 최종 소비는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모든 부문에서 소비가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
부록: 에너지 가격 및 수급 통계
국제 에너지 가격
국내 에너지 가격
국내 전력 및 REC 가격
총에너지 소비 및 원별 비중
최종에너지 소비 및 비중
[1] 2022년 경제성장률은 2.6%로 2021년 4.1%에 비해 1.5%p 하락하였고, 에너지 소비가 많은 제조업의 성장률은 1.4%에 그쳐 전년의 6.9%보다 크게 둔화되었다.